fb 베트남은 포스트 중국이 될 수 있을까? ②양국의 경제비교
VEYOND는 베트남에 대한 살아있는 정보를 탐구합니다.
VEYOND는 베트남 트렌드의 흐름과 맥락을 전달합니다.
VEYOND는 베트남에서 펼쳐질 비전을 함께 고민합니다.

Report

베트남은 포스트 중국이 될 수 있을까? ②양국의 경제비교

icon view7460 2021-08-09

베트남은 경제 발전 모델은 중국에서 찾은 것이 많다. 같은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경제 성장을 이룩한 국가이니 그럴 수밖에 없다. 베트남 경제 발전 정책, 즉 도이머이의 핵심은 선부론(先富論)이다. 특정 도시를 중심으로 경제 발전을 이룬 다음, 그 발전의 축을 지방 도시로 확장시킨다는 덩샤오핑의 이론이다. 베트남과 중국의 경제 발전 목표 및 과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표로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의 경우 1인당 GDP 2천 불을 넘긴 2000년대 중반부터 자국에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외국기업들을 몰아내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저임금에 기반한 저부가가치 산업을 도태시키려는 중국 정부의 구조조정 노력이었다. 일면 이해가 되지만 문제는 그 방법의 폭급성이다. 봉제, 완구, 섬유, 액세서리 등 한국계 영세업종이 밀집해있던 칭다오市가 좋은 예다.

반대로 LG전자와 신도리코 등 첨단업종에는 각종 혜택을 제공하며 유치에 전력을 기울였다. 반면 영세 업체들에게는 도시 외곽으로의 이전을 강요했다. 갑작스레 소방법 위반 여부 명목의 단속을 벌여 벌금을 매긴다든지, 공장의 전기나 수도를 끊는다든지 하는 사례가 빈발했다. 세금 감면과 대출 편의 등 그간의 혜택은 모두 없애고 부가세 환급 폐지와 토지사용세, 사회보험 가입 등 의무는 대폭 늘렸다. 수많은 영세 업체들이 속절없이 무너졌다. 시정부에서는 공해산업들을 서부 내륙으로 공장을 옮기던가 한국으로 돌아가라고 대놓고 윽박지르는 경우도 많았다.

21세기 초, 관련 정책으로 많은 피해를 입은 한국 기업들 ⓒ매일경제

G2로 부상한 지금 중국은 자국에 진출한 외국기업들의 눈치조차 보지 않는다. 중국 정부는 금년 6월 10일 反외국제재법을 제정, 발표한 바 있다. 외국이 자국 법률에 근거해 중국 기업이나 인민에게 차별적 조치를 할 경우, 중국도 해당 국가의 개인·조직을 보복행위 명단(블랙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는 내용의 법률이다. 대상이 된 기업과 개인은 물론 그 가족에게까지도 추방, 압류 등 필요한 모든 제재를 가할 수 있다. 사실상 무제한에 가까운 보복 조치를 명문화한 이 법의 통과는 중국에 남아있는 외국 기업과 거주민들의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

중국의 오만하기까지 한 자신감은 그 규모와 역사에서 비롯된다. 2020년 중국의 GDP는 14조 8,608억 불로서 세계 2위다. 20조 8,073억 불인 미국의 71%에 달한다. 1995년 일본의 전성기 시절 GDP가 미국의 71% 수준이었다. (미국 7조 6,400억 불, 일본 5조 4,490억 불) 이후 일본은 미국의 견제로 인해 잃어버린 30년의 세월을 보내고 있지만 중국은 아직 건재하다. 오히려 2030년 이전까지 미국의 GDP를 따라잡고 진정한 G1으로 거듭나려는 중국몽(中國夢)의 칼을 갈고 있다.

또한 자체 기술로 미국, 러시아에 이어 세계 세 번째의 화성 탐사를 성공시키는 등 특정 산업에 있어서는 질적(= 기술적) 능력도 첨단을 달린다. 거기에 규모의 경제까지 더해지니 가히 천하가 자신들의 발아래다. 역사적으로도 근세까지 전 세계를 호령하는 패권국가였다. 1820년대 중국의 GDP는 전 세계 GDP의 33%를 차지했다. (세계 6,945억 불, 중국 2,286억 불) 미국이 최전성기를 구가했던 시절(2005년)에도 전 세계 GDP의 27%가 최고치였다. (세계 42.5조 불, 미국 11조 7,200억 불)

지속적인 우상향 성장 그래프를 그리고 있는 중국 ⓒ연합뉴스

반면 베트남은 2019년 기준 GDP 2,619억 불로서 세계 45위, 1인당 GDP 2,715불로서 세계 109위에 불과한 나라다. 그나마 수출의 70% 이상을 외국기업들이 담당한다. 그중에서도 삼성전자 한 기업이 전체 베트남 수출의 35~40%를 차지하는 실정이다. 변변한 산업 기술도 축적하지 못하고 있다. 베트남 경제는 양적, 질적 측면에서 그 한계성이 뚜렷하다. 일본, 유럽 각국의 규모를 넘어 미국이라는 초강대국과 세계 패권을 겨냥하는 중국의 수준에는 결코 도달할 수 없는 위치다. 역사적으로도 이웃인 캄보디아나 태국과 다퉈 영토를 넓혀오긴 했으나, 세계는커녕 인도차이나반도의 패권조차 가져본 적 없는 나라다. 제아무리 용을 써도 타국, 특히 자국에 투자 중인 선진 각국의 기업들에게 중국식의 공격적, 투쟁적 대응을 할 수는 없는 입장에 있다.

사실 중국은 현재의 베트남에게는 엄청난 장애 요인이다. 이제 막 개도국에서 벗어나려는데 중국이라는 거대한 용이 버티고 있다. 자금, 기술 모든 분야에서 중국에 짓눌려 자체 기술을 배우고 축적할 여유조차 없다. 그나마 낮은 인건비 하나에 기대어 한국 등 선진국과 중국이 던져주는 제조업의 일부를 유치하고 있을 뿐이다. 부품들도 중국에서 수입한다. 최대 수입국인 중국의 비중은 해마다 증가하여 전체 수입의 32%를 차지할 정도다.

늘어나는 교역량에 비해 반비례하는 무역수지. 건강하지 못한 구조다. ⓒKOTRA

수출 주력 산업 중 하나인 섬유∙의류의 경우도 영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국산에 비해 가격 경쟁력도 없다. 규모의 경제를 앞세운 중국 기업들에게 물량과 가격 면에서 뒤처지기 때문이다. 베트남 과학기술부가 2017년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 기업 중 90%가량이 낙후된 기술을 사용 중이다. 수입 기계와 공장 라인의 76%가 1950~60년대 기술이라고 평가됐다. 중국이 쓰다 버린 기술의 쓰레기장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중국 기업들이 오래된 기계와 설비를 베트남에 중고로 넘기고 있기 때문이다. 급기야 베트남 정부는 2016년과 2019년, 중고 기계 수입에 관한 법안을 제정, 낙후된 기술과 기계의 이전을 금지하기도 했다.

삼성전자가 하노이 인근 박닌성에 스마트폰 공장을 지은 것이 2009년의 일이다. 12년이 지난 오늘날 삼성에 납품하는 베트남계 협력사는 패키징 및 포장지 인쇄업체가 대부분이다. 삼성이 한국에서 기존 협력사를 데려온 영향도 있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베트남에 있다. 베트남에는 삼성이 원하는 정도의 부품을 조달할 원초적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베트남 GDP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삼성. 하지만 미래 산업 연계는 여전히 부족하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은 운과 기회와 능력의 삼박자를 갖췄다. 한국이 산업화에 박차를 가하던 시기 중국은 ‘잠자는 사자’였다. 중국이 잠든 동안 한국의 기업들은 부지런히 기술을 축적했다. 삼성이 처음 흑백 TV를 생산한 때가 1970년이다. 현대자동차는 1975년부터 포니 1을 양산하기 시작했다. 삼성전자가 반도체 64K D 램을 개발한 것은 1983년의 일이다. 한국전쟁의 포화가 멈춘 지 30년이 지난 시점에서다. 만약 이 시기 중국이 지금과 같은 경제 발전을 했다면 이후의 한국 경제는 어떻게 되었을까?

1986년 베트남 정부가 도이머이(개혁 개방) 정책을 선언한 이래 30여 년이 흘렀다. 하지만 베트남은 아직 자신들만의 산업 역량을 축적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베트남의 삼성이라는 빈그룹의 앞날을 유심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 본업인 부동산에서의 실적을 바탕으로 제조업 역량을 키우겠다는 빈그룹이다. 2018년부터 자동차와 스마트폰, TV 산업에 진출했으나, 불과 3년 만인 올해 스마트폰과 TV 사업의 포기를 공식 선언했다. 대신 전기자동차 및 관련 산업에 집중하겠다고 한다.

(편집자 주 : 빈그룹의 변화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을 다른기사에서 확인하세요)

사업 전환을 꿈꾸는 빈 그룹. 하지만 아직까지는 큰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 차원의 지원이 더해지고 있지만, 아직 야심찬 프로젝트의 성패 여부는 미지수다. 단순 조립 생산에 불과한 형편인지라 누적 적자가 심각하기 때문이다. 실패한다면 베트남 경제의 미래는 어두울 수밖에 없다. 적어도 현재까지 베트남에 기회는 주어졌으되, 그 기회를 잡아 별이 되기엔 다소 부족함이 많다.

다음에는 중국과 베트남의 사회 문화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베트남은 포스트 중국이 될 수 있을까?

① 베트남과 중국, 양국의 정치비교
② 베트남과 중국, 양국의 경제비교
③ 베트남과 중국, 양국의 사회비교 및 우리가 나아갈 길

 

 

 

글쓴이 김영배

국제투자연구소 소장
책 ‘나 홀로 가는 부동산 투자 여행 : 베트남 편’


to to top TOP